실시계획인가 고시 완료 29개월만에
공동주택 포함 전체 공원 사업 시작
물가상승 등 여파 분양가 355만원↑
마륵 등 나머지 내년 초 순차적 착공
150만 광주시민의 허파이면서도 수 십 년간 사실상 관리 사각지대였던 도심공원을 재정비하는 민간공원 특례사업이 첫 삽을 떴다. 공원별 실시계획인가 고시가 완료된 지 29개월만으로, 이르면 2024년에는 새롭게 탈바꿈한 휴식처가 시민들에게 선보일 전망이다.
14일 광주시에 따르면 특례사업이 추진 중인 9개 민간공원 10개 사업지 가운데 처음으로 신용(운암공원)공원 정비 사업이 이번 달 착공된다.
광주시는 사전 행정절차를 마무리하고 11월 중으로 공동주택 분양 개시와 함께 공원 정비 사업도 동시 시작하도록 한다는 계획이다.
전남대학교 인근 광주지방기상청을 품고 있는 신용공원은 총 6만2천여㎡ 규모로, 2024년까지 정원과 쉼터, 자연학습장 등을 갖춘 공간으로 조성된다.
기존에 개구리, 잠자리, 조류 등 공원에 서식하고 있는 생태환경을 최대한 보존하기 위해 잘린 숲길을 복원하고, 경신중학교 인근 주택가와 인접한 훼손 녹지에는 시민 누구나 이용 가능한 복합휴양문화생태공간이 들어 설 예정이다. 어린이에게는 통합 생태놀이공간을, 청소년에게는 북카페를, 중장년에게는 휴식이 가능한 낭만정원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광주시는 기대하고 있다.
그간 물가상승률, 토지보상비와 금융비용 상승에 따른 사업비 변경 타당성 검증을 거친 신용공원은 최근 3.3제곱미터당 1천455만원에 분양하는 것을 골자로 한 사업 계획을 최종 확정했다. 사업 초기 사업자가 제시했던 분양가(1천100만원대) 수준보다 355만원 가량 증가한 수준이다.
공동주택은 설죽로 149번길과 인접한 공원에 위치한다. 텃밭 등으로 활용되면서 이미 녹지 훼손이 진행된 나대지로, 4개동 265세대(전용면적 84㎡)가 들어선다. 이 중 일부는 임대 분양 예정이다.
신용공원 외 8개 공원의 정비 사업도 내년 초부터 순차적으로 시작된다.
실시설계 단계에 머물고 있는 중외공원을 제외한 나머지 사업지는 올 연말과 내년 초 세부 설계를 확정하는 건설사업관리 절차를 밟는다.
전체 9개 공원시설 정비에 투입되는 1조5천억원 수준의 예산 전액은 민간자본으로 충당된다.
실제로 대부분의 사업지는 토지보상 최종 단계에 와 있다.
보상협의가 진행되고 있거나 수용재결(중토위 심의 포함)을 거치고 있는 중앙공원 1지구와 중외공원을 제외한 나머지 7개 사업지는 토지보상금이 지급됐다. 일부 토지 소유자들과의 협의 보상 이견으로 공탁 등의 절차를 밟고 있는 곳도 있지만 사실상 토지보상은 완료됐다는게 업계의 설명이다.
용도지역 변경 또는 아파트 건축을 위한 본격 심의 절차도 순조롭게 이어지고 있다. 신용공원에 이어 마륵공원이 사업비 변경 타당성 검증 용역을 진행하는 등 가장 빠르게 전개되고 있고, 중앙2·일곡·운암산·수랑·봉선공원은 주택건설사업계획 승인을 목전에 두고 있다. 중앙1·중외·송암공원도 용도지역 변경 도시계획위원회 심의를 거쳐 교통심의를 통과하고 현재 건축(경관)심의 절차를 밟고 있다.
이에 따라 본격적인 분양 일정도 시작 될 예정이다.
광주시는 후분양에 나선 중앙1공원을 제외하고는 나머지 모두 분양가 인상을 위한 사업비 변경 타당성검증이 진행되고 있는 만큼 분양가가 확정되는 내년 초부터 순차적으로 청약을 시작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다만 물가, 지가, 금리, 보상, 금융 등 분양가를 좌우하는 사실상의 모든 지표가 흔들리면서 전체 사업지구의 분양가가 당초 제시 규모보다 최소 20~30% 이상 오를 것으로 보인다.
주인석 광주시 민간공원특례사업팀장은 "민간공원 특례사업의 본 목적은 도시 생태·경관 회복에 있다. 도시계획상 공원시설로 지정은 됐으나 사업성이나 소유권 문제 등에 막혀 보존도, 개발도 그 어느 것 하나 제대로 할 수 없어 사실상 관리 사각지대였던 도시공원을 재정비하는 사업이 제대로 마무리 되도록 최선을 다 하겠다"고 말했다.